최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는 반도체뿐 아니라 전자제품 전반을 겨냥한 강경한 무역정책의 연장선으로 해석됩니다.
🔁 기존 입장 번복? 스마트폰도 관세 면제 아냐
4월 13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운영하는 SNS '트루스소셜'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어떤 관세 예외도 발표되지 않았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
“우리는 반도체와 전체 전자제품 공급망을 향후 국가안보 관세 조사에서 면밀히 살펴볼 예정”
그간 발표된 정책 흐름을 보면, 그는 4월 2일 한국 등 주요 교역국에 25%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반도체'는 면제 대상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4월 11일에는 대통령 각서를 통해 면제 대상인 반도체의 세부 범위를 19개 항목으로 제한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완성품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즉, 스마트폰처럼 반도체가 들어 있는 제품이라 하더라도, 완성품일 경우 관세를 면제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미국 내 생산 강조, 중국은 ‘특히 엄격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다른 나라들이 미국을 상대로 사용하는 비금전적 장벽과 무역 불균형을 용납하지 않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을 지목하며, 미국 국민을 존중하지 않는 ‘적대적인 무역국가’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는 미국 내에서 제품을 생산해야 하며, 중국처럼 미국을 이용하려는 나라에 끌려다니지 않겠다.”
이 발언은 미국 내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한 리쇼어링 정책(reshoring) 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리쇼어링: 해외에 나갔던 생산 공장을 다시 본국으로 되돌리는 산업 정책
관련기사 : 트럼프 “어떤 예외도 발표하지 않아”…스마트폰·컴퓨터 관세 면제 부인
📌 정리하자면
- 트럼프 전 대통령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재확인했습니다.
- 반도체 자체는 일부 면제되지만, 반도체가 포함된 완성품(예: 스마트폰)은 관세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중국 등 무역 불균형 국가에 대해서는 강경 대응 기조 유지를 밝혔습니다.
- 미국 내 생산 유도를 위한 정책적 압박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앞으로의 영향은?
이러한 기조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전자제품 제조사들에는 수출 비용 증가, 가격 경쟁력 저하라는 부담이 따를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이 복잡하게 얽힌 반도체 산업은 미국의 정책 방향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의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5.04.13 - [뉴스] - 📉 미국, 중국산 IT제품에 대한 트럼프 관세 일부 철회
2025.04.11 - [뉴스] - 트럼프의 중국산 관세 145% 인상! 유가 급락, 금값 급등…세계 경제 흔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메타, 구글, 애플, 아마존까지! 빅테크를 향한 반독점 소송 총정리 (9) | 2025.04.16 |
---|---|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미국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10) | 2025.04.14 |
애플, 인도에서 생산 물량 대폭 확대한 이유는? (17) | 2025.04.13 |
📉 미국, 중국산 IT제품에 대한 트럼프 관세 일부 철회 (3) | 2025.04.13 |
트럼프의 중국산 관세 145% 인상! 유가 급락, 금값 급등…세계 경제 흔들 (8)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