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세종대왕 나신 날이 스승의 날인 이유, 알고 계셨나요?

by 궁금한 이야기를 찾아보는 쏭 2025. 5. 14.
반응형
LIST
반응형

매년 5월 15일은 많은 분들에게 ‘스승의 날’로 익숙합니다. 그런데 이 날이 바로 세종대왕이 태어나신 날, 즉 탄신일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한글을 창제하신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의 탄신일은 1397년 5월 15일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세종대왕의 업적을 되새기고 계승하기 위해 2024년부터 이 날을 **국가기념일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했습니다.


반응형

왜 5월 15일이 중요한가요?

세종대왕은 조선 제4대 왕으로서 백성을 위한 정책과 과학·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특히, 1443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해 모든 백성이 쉽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한 것은 인류 역사에서도 손꼽히는 위대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세종대왕의 정신은 단지 한글날(10월 9일)에만 기억되어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에 따라 탄신일인 5월 15일을 기념일로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그런데 왜 스승의 날일까요?

1965년부터 교사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스승의 날이 5월 15일로 지정된 것도 세종대왕을 백성을 위한 참스승으로 삼자는 의미에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승의 날의 유래를 잘 모르게 되었고, 세종대왕 탄신일이라는 점도 잊히고 말았습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약 76%가 5월 15일이 세종대왕 나신 날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반응형

어떤 행사가 열릴까요?

정부는 세종대왕 나신 날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 세종문화상 시상식: 기존에는 한글날 즈음에 진행됐지만, 이제는 5월 15일에 맞춰 개최됩니다.
  • 숭모제전: 세종대왕의 위업을 기리는 제례 행사입니다.
  • 다양한 한글 문화 프로그램: 전시, 공연, 교육 프로그램 등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반응형

📅 세종대왕 나신 날 타임라인 정리

연도 주요 사건
1397년 5월 15일 세종대왕(이도) 탄생 – 조선 제4대 왕, 훗날 한글 창제 주도
1443년 훈민정음 창제 시작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연구)
1446년 훈민정음 반포 – 백성을 위한 문자, 오늘날의 '한글'
1965년 '스승의 날' 제정 –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을 기념해 시작
1991년 한글날(10월 9일) 공휴일 제외 → 이후 한글날 기념의식 약화
2013년 한글날 다시 공휴일 지정 (국경일은 아님)
2024년 정부, 5월 15일을 '세종대왕 나신 날'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
2024년 이후 세종문화상 시상식, 숭모제전, 문화행사 등 매년 5월 15일 개최

반응형

기억해야 할 날, 세종대왕 나신 날

‘한글날’만큼이나 중요한 5월 15일. 이제는 단지 스승의 날로만 알고 넘기기보다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자주적 사고, 실용정신을 되새기는 날로 기억해보는 건 어떨까요?

세종대왕 나신 날을 계기로 우리말의 소중함과 우리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다시 한 번 되새겨봅시다.


✅ 요약

5월 15일은 단순한 스승의 날이 아닌 세종대왕 탄신일입니다. 2024년부터 공식 국가기념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되어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립니다. 이 글을 통해 5월 15일의 숨겨진 의미를 알아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