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5월 15일은 많은 분들에게 ‘스승의 날’로 익숙합니다. 그런데 이 날이 바로 세종대왕이 태어나신 날, 즉 탄신일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한글을 창제하신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의 탄신일은 1397년 5월 15일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세종대왕의 업적을 되새기고 계승하기 위해 2024년부터 이 날을 **국가기념일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했습니다.
왜 5월 15일이 중요한가요?
세종대왕은 조선 제4대 왕으로서 백성을 위한 정책과 과학·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특히, 1443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해 모든 백성이 쉽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한 것은 인류 역사에서도 손꼽히는 위대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세종대왕의 정신은 단지 한글날(10월 9일)에만 기억되어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에 따라 탄신일인 5월 15일을 기념일로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스승의 날일까요?
1965년부터 교사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스승의 날이 5월 15일로 지정된 것도 세종대왕을 백성을 위한 참스승으로 삼자는 의미에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승의 날의 유래를 잘 모르게 되었고, 세종대왕 탄신일이라는 점도 잊히고 말았습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약 76%가 5월 15일이 세종대왕 나신 날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어떤 행사가 열릴까요?
정부는 세종대왕 나신 날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 세종문화상 시상식: 기존에는 한글날 즈음에 진행됐지만, 이제는 5월 15일에 맞춰 개최됩니다.
- 숭모제전: 세종대왕의 위업을 기리는 제례 행사입니다.
- 다양한 한글 문화 프로그램: 전시, 공연, 교육 프로그램 등도 함께 진행될 예정입니다.
📅 세종대왕 나신 날 타임라인 정리
연도 | 주요 사건 |
1397년 5월 15일 | 세종대왕(이도) 탄생 – 조선 제4대 왕, 훗날 한글 창제 주도 |
1443년 | 훈민정음 창제 시작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연구) |
1446년 | 훈민정음 반포 – 백성을 위한 문자, 오늘날의 '한글' |
1965년 | '스승의 날' 제정 –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을 기념해 시작 |
1991년 | 한글날(10월 9일) 공휴일 제외 → 이후 한글날 기념의식 약화 |
2013년 | 한글날 다시 공휴일 지정 (국경일은 아님) |
2024년 | 정부, 5월 15일을 '세종대왕 나신 날'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 |
2024년 이후 | 세종문화상 시상식, 숭모제전, 문화행사 등 매년 5월 15일 개최 |
기억해야 할 날, 세종대왕 나신 날
‘한글날’만큼이나 중요한 5월 15일. 이제는 단지 스승의 날로만 알고 넘기기보다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자주적 사고, 실용정신을 되새기는 날로 기억해보는 건 어떨까요?
세종대왕 나신 날을 계기로 우리말의 소중함과 우리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다시 한 번 되새겨봅시다.
✅ 요약
5월 15일은 단순한 스승의 날이 아닌 세종대왕 탄신일입니다. 2024년부터 공식 국가기념일인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되어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립니다. 이 글을 통해 5월 15일의 숨겨진 의미를 알아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피도 노화된다! 40대 남자 두피 관리 & 탈모 예방법 (22) | 2025.05.15 |
---|---|
BBQ 치킨앱에서 황금올리브 반마리 무료 받자! (5월 16일 한정) (10) | 2025.05.15 |
2025년 사전투표 꿀팁! 준비물부터 장소 찾는 법까지 (11) | 2025.05.14 |
아들 육아 vs 딸 육아, 뭐가 다를까? 뇌부터 감정까지 총정리 (13) | 2025.05.14 |
추어탕, 임신 준비 여성에게 좋은 이유 4가지 (28)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