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달러 환율이 무섭게 오르고 있다는 소식, 다들 들으셨나요? 4월 8일 오늘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은 무려 1,473.2원으로 마감되었는데요. 이는 전날보다 5.4원 오른 수치이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라고 합니다.
그럼 왜 이렇게 환율이 치솟고 있는 걸까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임박
이번 환율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강경한 무역 정책을 내세우면서, 한국에도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어요. 이 관세는 한국시간으로 4월 9일 오후 1시 30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관세가 오르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그만큼 달러 유입도 줄어들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원화 수요가 줄어들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거죠.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안전자산 선호 심리도 작용
관세가 오르면 단순히 한 나라만 영향을 받는 게 아니에요. 미국이 한국뿐 아니라 중국에도 최대 104%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전 세계적인 무역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되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 즉 달러를 더 선호하게 되죠. 그래서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는 수요가 늘면서 환율이 더 오르게 되는 겁니다.
중국과 한국의 무역 구조도 영향 미쳐
한국은 중국과도 밀접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330억 달러, 전체 수출의 약 19.5%를 차지했는데요.
미국이 중국에 강한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 경제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곧 한국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이 또한 원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어요.
앞으로 환율은 더 오를까?
전문가들은 당분간 환율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고율 관세 시행과 함께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면, 외국인 자금 유출이나 국내 수출기업의 실적 악화도 우려되기 때문이에요.
📌 정리하자면,
- 4월 8일 원·달러 환율은 1,473.2원으로 마감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원인, 한국은 25% 대상
- 무역 긴장 고조로 달러 수요 증가, 원화 약세 심화
- 한국의 대중국 수출 구조도 간접적 악영향
2025.04.08 - [뉴스] - 미국·중국 관세전쟁 재점화… 한국 경제와 금리 인하 시계는?
미국·중국 관세전쟁 재점화…한국 경제와 금리 인하 시계는?
🇺🇸 미국 vs 🇨🇳 중국, 다시 불붙은 관세 전쟁… 한국 경제는 어디로?1. 미중 관세 갈등, 다시 격화되다 2025년 4월, 글로벌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키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충돌이 다시 시작
write4673.tistory.com
2025.04.08 - [뉴스] - 2025년 4월 금리인하 현실화? 미국 관세정책 여파와 한국 경제 전망 비교분석
2025년 4월 금리인하 현실화? 미국 관세정책 여파와 한국 경제 전망 비교분석
2025년 4월 금리 인하 가능성, 진짜 앞당겨질까?올해 한국 경제는 쉽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미국 정부의 예상보다 강한 관세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에 하방 압
write4673.tistory.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퍼튜브, 서울-부산 20분 시대 열린다? (5) | 2025.04.09 |
---|---|
2025년 4월 8일, 북한군 10여 명 휴전선 침범…그 배경은? (2) | 2025.04.09 |
모르면 과태료 폭탄! 4월부터 달라지는 단속 카메라 총 정리 (8) | 2025.04.08 |
미국·중국 관세전쟁 재점화…한국 경제와 금리 인하 시계는? (6) | 2025.04.08 |
[속보]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실시 확정! (4) | 2025.04.08 |